3.1. 연구논문의 순서
연구논문의 원고는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작성 요령은 다음과 같다.
3.1.1. 논문은 국문을 사용 하되 필요 시 영문을 병기할 수 있고 최고 12쪽을페이지를 초과할 수 없다. 다만, Abstract, Additional keywords, Literature Cited, Tables & Figures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작성 순서는 다음과 같으며, 각 순서 사이는 1줄을 띄운다.
① 제목, 저자명, 소속명 및 직위, ② Title, Author(s), Position & Affiliation(이상 영문), ③ Abstract, ④ Additional key words, ⑤ Corresponding author, ⑥ 서론, ⑦ 재료 및 방법, ⑧ 결과 및 고찰(결과와 고찰을 나눌 수 있으며 뒤에 결론을 별도로 넣을 수 있음), ⑨ 적요, ⑩ 추가 주요어, ⑪ 사사, ⑫ Literature Cited, ⑬ Tables & Figures
3.1.2. 영문논문은 원고 전체를 영문으로 작성하되 논문의 끝에 국문으로 제목, 저자명, 소속 및 직위, 적요, 추가 주요어를 작성한다. 작성 순서는 다음과 같으며, 각 순서 사이는 1줄을 띄운다.
① Title, Author(s), Position & Affiliation, ② Abstract, ③ Additional key words, ④ Corresponding author, ⑤ Introduction, ⑥ Materials and Methods, ⑦ Results and Discussion(Results와 Discussion으로 나눌 수 있으며, 뒤에 Conclusion을 별도로 넣을 수 있음), ⑧ Acknowledgement, ⑨ Literature Cited, ⑩ 제목, 저자명, 소속명, 직위(국문), ⑪ 적요(국문, Abstract와 같은 내용), ⑫ 추가 주요어(국문), ⑬ Tables and Figures
3.2. 연구 논문의 각 순서별 작성요령
3.2.1 제목: 제목은 구체적이어야 하고 논문 내용을 포함하는 간결한 설명이어야 한다. Series 논문은 가능한 한 피한다. 영문 제목은 각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하나 전치사, 관사, 접속사는 소문자로 한다. 국문 제목에 ‘…에 관한 연구’ 등과 영문 제목에 ‘A study on…’이나 ‘Studies on…’ 등은 원칙적으로 사용을 금한다. 작물명 등 생물명은 학명으로 쓰되 잘 알려진 종의 경우 일반명을 사용할 수 있다. 품종명은 품종 간 비교를 위해서 또는 재배 품종의 특성을 강조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상품명도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일반 용어를 제외하고 약어를 사용할 수 없다.
3.2.2 저자명: 저자가 2명 이상이면 가운데 점을 찍는다(예, 김○○*·박○○).
영문명은 이름 뒤에 성을 표기해야 하고, 이름 사이에 hyphen(-) 표시의 유무는 저자가 희망하는 방식대로 표기한다.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별표(*)를 하여 표시하고 각주에 이를 명기한다. 저자가 이후 다른 기관으로 옮긴 경우, 새로운 기관은 각주로 표시할 수 있다.
3.2.3 소속: 구체적으로 명확히 쓰며 여러 소속일 경우에는 아라비아숫자의 위 첨자로 구분하여 표시한다(예, 김○○1 . 박○○2; 1서울대 농공학과, 2전남대 원예학과).
3.2.4 직위: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 시 논문 저자의 소속과 직위도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예, 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 교수, 대학 소속 강사 – 강사, 대학 소속 학생 – 학생, 대학 소속 박사후 연구원 – 박사후 연구원,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 성명만 기재). 논문 저자가 현재 소속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 최종 소속, 직위, 재학년도를 제출받아 별도로 관리한다.
3.2.5 각주: Table이나 Figure의 특정 부분을 설명할 때 각주를 사용할 수 있다.
3.2.6 Additional key words와 추가 주요어: 논문 내용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을 5단어 이내로 각각 영문과 국문으로 표시한다. 제목에 나오지 않고 초록에는 나온 단어를 사용하는것을 원칙으로 하며, 수량(yield)이나 생장(growth) 등 너무 광범위하거나 일반적인 것은 피한다. 학명의 경우에는 명명자는 제외한다. 국문은 가나다, 영문은 ABC 순으로 기재한다. 단, 영문 논문의 경우 적요(국문)에 추가 주요어를 넣을 때에는 Abstract의 추가 주요어 순서대로 넣는다.
3.2.7 Abstract: 초록은 연구의 목적, 사용된 재료 및 방법, 결과, 결론을 간결하게 요약하여 300단어 이내의 영문으로 작성한다. 한 문단으로 작성하며, 번호를 붙인 개조식은 사용할 수 없다. 정의되지 않은 약어, 지정되지 않은 참조 및 인용 표시는 없어야 한다. 일반적인 종의 이름, 화학적 이름, 생리학적 또는 병리학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3.2.8 교신저자 이메일, 공동주저자 여부 등 해당사항을 Additional keywords 다음에 표기할 수 있다.
3.3. 본문 작성 요령
3.3.1 서론(Introduction),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적요, 인용문헌(Literature Cited)에는 번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중앙에 위치시키고 위 문장과 1줄을 띄운다.
3.3.2 서론: 서론은 일반 독자들을 위한 배경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연구의 동기와 목적, 연구사, 동향 등을 알기 쉽게 간단히 언급하며, 연구목적을 마지막으로 기술한다. 장황한 서술이나 ‘…는 …게 보고하였고’ 식의 단순한 나열식 반복은 피하며, 제시된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전 간행물들을 인용해야 한다.
3.3.3 재료 및 방법: 결과의 표나 그림에 관련된 모든 재료 및 실험방법, 실험설계 및 통계처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새로 창안하지 않고 이미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가능한 한 문헌 인용으로 대체한다. 사용된 식물재료의 학명 및 필요시 품종명은 반드시 표기한다. 실험기자재 및 센서 등을 표기할 때, 모델명, 제조사, 도시명, 국가명을 반드시 기재한다.
3.3.4 결과 및 고찰: 결과에서는 그림(Figure)과 표(Table)의 내용을 이용하여 간결하게 설명해야 한다. 양적인 변화는 가급적 그림으로 나타내고 표의 사용을 억제한다. 고찰은 결과의 반복을 포함해서는 안 되며, 새로 얻어진 연구 결과와 그 중요성을 이미 알려진 사실과 연관시켜 비교, 분석하고 이와 함께 결과의 의미와 저자의 결론을 설명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결과와 고찰로 각각 나누어 작성할 수 있으며, 결론을 별도의 순서로 작성할 수 있다. 표(Table)와 그래프(Figure)는 인용문헌 뒤에 각 페이지당 1개씩 배열을 원칙으로 한다.
3.3.5 적요: 필요한 경우에는 복잡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결론짓기 위하여 별도로 쓸 수 있으나 보통은 Abstract(영문)의 내용에 준한다. 적요 아래에 추가 주요어를 Additional keyword 순서에 맞게 국문으로 제시한다.
3.3.6 사사(Acknowledgement): 필요시 표기한다. 승인이 요구되는 연구비 지원기관을 언급할 수 있다. 동료 및 전문직 종사자의 도움을 표기할 수 있지만, 일상적인 지원 또는 가족 구성원의 승인은 피해야 한다.
3.3.7 Literature Cited: 정기 간행되는 학술지의 게재 논문, 보고서, 단행본, 학위 논문,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정보 등을 수록한다.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므로 비영문 문헌들도 모두 영문으로 표기하되, 영문으로 작성되지 않은 경우 괄호 안에 해당언어를 각 인용문헌의 끝 부분에 표기하여야 한다[예, (in Korean)].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수록하며 해당 인용문헌을 입수하지 못해 재인용할 때는 원저자와 인용자를 둘 다 표시한다.
3.3.7.1. 본문에서의 인용 표현: 직접 인용 또는 (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저자의 성(性, last name)과 하버드 시스템에 따른 출판 연도를 적는다. 인용문헌의 배열순서는 연도 순으로 나열해야 한다.
3.3.7.2. 목록 작성: 인용된 모든 문헌은 저자 성(last name)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나열되어야 한다. 나열 순서는 저자, 연도, 논문제목, 발표지명, 권(volume), 호(number), 쪽의 순서로 표기한다. 다만, 학술지의 같은 권 내에서 호에 관계없이 쪽수가 연속될 때에는 호는 표기하지 않는다. 인용문헌이 동일 저자의 여러 편의 논문일 경우 발표년도 순서에 의하여(발표년도가 빠를수록 앞에 표기), 동일년도에 2인 이상의 공저일 경우 공동발표자 성(last name)의 알파벳 순서에 의한다. 저자와 발표년도가 같을 경우에는 연도에 소문자의 알파벳을 병기한다(1997a, 1997b). 저널의 이름은 논문제목 약어목록(http://www.issn.org/services/online-services/access-to-the-ltwa/)에 따라서 마침표 없이 축약해야 한다. DOI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논문이 온라인으로 발행되는 경우 반드시 DOI를 제공해야 한다. 타인의 비공개 저작물(사적인 통신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포함)을 사용하는 경우 허락을 받아야 한다. 과도한 자기인용은 피해야 하며 불필요하게 많은 문헌을 인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3.3.7.3. 인용문헌 목록은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작성해야 한다.
① 학술지 게재논문
Koo JK, Hwang HS, Hwang JH, Park EW, Yu J, Yun JH, Hwang SY, Choi HE, Hwang SJ (2025) Supplemental lighting and CO2 enrichment on the growth, fruit quality, and yield of cucumber. Hortic Environ Biotech 66:77-85.
Choi HE, Hwang SY, Yun JH, Yu J, Hwang JH, Park EW, Koo JK, Hwang HS, Hwang SJ (2023)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by different cultivars and supplemental light sources of low radiation period and early yield of cucumber after transplanting. J Bio-Env Con 32:319-327.
모든 저자의 이름을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긴 저자 목록에서 ‘et al.'을 사용하는 것도 허용됨:
② 학술지 게재논문 + DOI(영문으로 작성되지 않는 논문 작성 포함)
Yu J, Yun JH, Hwang SY, Park EW, Hwang JH, Choi HE, Koo JK, Hwang HS, Hwang SJ (2023) Effect of shading and supplemental lighting for greenhouse cultivation of cucumber in summer season. J Bio-Env Con 32:226-233. https://doi.org/10.12791/KSBEC.2023.32.3.226
Park EW, Hwang JH, Hwang HS, Yun JH, Hwang SY, Yu J, Choi HE, Koo JK, Lee ES, Han KS, Yoon YH, Hwang SJ (2025) Effect of temperature and seedling cultivation period on the quality of plug seedlings of four medicinal plant. Hortic Environ Biotech 66:319-330. https://doi.org/10.1007/s13580-024-00659-7
③ 전자 저널
Chen WH, Zhao XM , van Noort V, and Bork P (2013) Human monogenic disease genes have frequently functionally redundant paralogs. PLOS Comput Biol 9:e1003073. https://doi.org/10.1371/journal.pcbi.1003073
④ 온라인 첫 기사
Weeks DP, Spalding MH, and Yang B (2015) Use of designer nucleases for targeted gene and genome editing in plants. Plant Biotechnol J (in press). https://doi.org/10.1111/pbi.12448
⑤ 특허
Ubersax JA, and Platt DM December 9, 2010. Genetically modified microbes producing isoprenoids. US Patent Application No. 20100311065 A1
⑥ Books(단행본 또는 편집본)
Ribéreau-Gayon P, Dubourdieu D, Donèche B, and Lonvaud A (2006) Botrytized sweet wines (Sauternes and Tokay). In RG Pascal, ed, Handbook of Enology: The Microbiology of Wine and Vinifications, Ed 2, Vol 1. John Wiley & Sons, West Sussex, UK, pp 449-458
Vannini A, and Chilosi G (2013) Botrytis infection: grey mould and noble rot. In F Mencarelli, P Tonutti, eds, Sweet, Reinforced and Fortified Wines: Grape Biochemistry, Technology and Vinification. Wiley-Blackwell, Chichester, UK, pp 159-169
⑦ Electronic Book
Jander G, and Joshi V (2009) Aspartate-derived amino acid biosynthesis in Arabidopsis thaliana. The Arabidopsis Book 7:e0121. https://doi.org/10.1199/tab.0121
James C (2009) Global status of commercial biotech/GM crops: 2009. ISAAA Brief 41. ISAAA, Ithaca, NY, USA
⑧ 학위논문의 경우
Reeder JD (1981) Nitrogen transformation in revegetated coal soils. PhD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 USA. (Dissertation Abstract 81-26447) pp 23-40
⑨ Online Database
GM approval database (2014) ISAAA. http://www.isaaa.org/gmapprovaldatabase/. Accessed 27 June 2014
⑩ Web Page
Borlaug N (2014) Global status of commercial biotech/GM crops: 2014, ISAAA Brief 49-2014: Executive summary. Available via http://isaaa.org/resources/publications/briefs/49/executivesummary/default.asp Accessed 27 June 2014
3.3.8 표(Table)와 그림(Figure):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Table 1, Fig. 1 등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한다. 제목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고 끝에는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동일한 내용을 표와 그림으로 중복하여 작성해서는 안 된다. 내용은 본문의 재료 및 방법을 읽지 않아도 알 수 있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표에서 내용을 더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에 표 밑에 역순서(z, y, x 등)의 알파벳 위 첨자로 된 각주를 사용한다. 그림은 사진, 그래프, 차트 등을 모두 포함한다. 모든 그림은 명암이 뚜렷한 흑백으로 출판물에 적합한 품질의 그림으로 제출되어야 하며, Color 인쇄 시는 고화질의 컬러 사진을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 개의 그림(Figure)에 여러 그래프 또는 사진(그림)이 배치될 때, 각 그래프나 사진(그림)은 알파벳 순서의 대문자(A, B, C 등)로 표시한다. 그림의 범례는 텍스트를 참조하지 않고 그림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재료 및 방법 또는 다른 표 또는 그림에 제시된 세부사항은 반복되어서는 안 되며 참조만 해야 한다. 그림에 사용된 기호 및 약어는 본문에서 정의하였어도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서 다시 정의해 주어야 한다.
3.4 사례별 작성 요령
3.4.1 사용 언어 및 용어: 국문 논문의 경우 내용전달에 필요하면 영문용어를 직접 사용하거나 괄호 안에 병기할 수 있다. 영문 논문이나 국문 논문 중 영문으로 작성된 부분(Title, Abstract, Table, Figure 등)은 특히 어법에 맞게 작성한다. 전문용어는 본 학회 용례 혹은 각 해당 전문용어사전을 따른다.
3.4.2 이탤릭체 : 인쇄 시에 이탤릭체로 표시할 것(학명 등)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3.4.3 단위: 단위를 표시할 때 %, ℃, ±를 제외한 단위는 문자표에서 제공되는 단위를 사용하지 말고 영어 철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SI 단위는 가운데 점(·)과 위 첨자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비SI 단위의 경우 사선(/)을 사용할 수 있다.
3.4.4 명칭: 식물명 또는 동물명 등은 반드시 첫 번째 나올 때 학명을 언급하여야 하며 그 다음부터는 일반명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학명은 이탤릭체로 쓰고 두 번째 쓸 때 속명은 약자를 사용한다. 품종(cultivar)명은 작은따옴표[single quotation mark(‘’)]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학명과 같이 쓸 때에는 cv. 다음에 쓰거나 cv.를 생략하고 single quotation mark(‘’)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품종명의 각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쓴다.
예) Lactuca sativa L. (처음 제시되는 학명)
L. sativa L. (앞에 제시된 후 다시 제시되는 학명)
L. sativa L. var. capitata L. [변종(variety)을 포함한 학명]
L. sativa L. cv. Great Lakes 또는 L. sativa L. 'Great Lakes' [품종(cultivar)을 포함한 학명]
상품명의 사용을 피하고 일반 명칭 뒤에 ( )를 사용해 표기한다.
3.4.5 약자 :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약자(http://www.issn.org/services/online-services/access-to-the-ltwa) 이외에는 처음 사용할 때 반드시 완전한 명칭을 쓰고 ( ) 내에 약자를 쓴 후 약자를 사용할 수 있다.
3.4.6 띄어쓰기 : 숫자와 단어 사이를 영문에서는 띄어 쓰며(단, %와 ℃는 예외), 국문에서는 붙여 쓴다. 괄호의 앞과 뒤를 영문에서는 띄어 쓰며, 국문에서는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쓰기 원칙에 따른다. 국문 논문은 띄어쓰기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용례 참조).
3.4.7 표 : 정량적인 단위들은 각 열의 상단에 표시하고 매 줄마다 반복하지 않는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통계결과를 병기한다. 표 내에서 별표(*, **)는 반드시 통계처리에 의한 유의성 검정에만 사용한다. 정순서의 알파벳(a, b, c 등)을 수치 간의 유의성 검정에 사용할 수 있다.
3.4.8 그림 : 문자를 붙이거나 손으로 쓰면 안 된다. 부호는 ●, ○, ■, □, ▲, △, ▼, ▽의 순서로 하는 것을 권장하며 부호의 정의는 그래프 안에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4.9 문헌의 인용
① 저자가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인 경우
Lee(1998), Robert and Smith(1995), (Lee 1998), (Robert and Smith 1995)
② 세 사람 이상인 경우
Robert et al.(1995), (Robert et al. 1995)
③ 두 편 이상인 경우
Lee(1997, 1998a, 1998b), (Lee 1997, 1998a, 1998b; Robert and Smith, 1999)
3.4.10 기타 : 기타 사항은 기존 학회의 표기 요령에 준하고 특별한 사항은 논문 심사 시에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하며, 저자에게 수정을 요청한다.
3.5 총설(review article) : 연구논문에 준하여 작성하되 본문 내의 순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3.6. 그 외 Short Communications, Book Reviews, Technology and Product Reports, Research Reports, Production and Marketing Reports, Comprehensive Crop Reports, Extension Education Methods/Teaching Methods, Variety Trials, Resources 등의 심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4.1. 논문은 MS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논문 투고는 본회 온라인 논문투고심사 시스템(http://submission.ksbec.org)에 접속하여 투고한다.
4.2. 저자는 긴급심사를 요청할 수 있다. 긴급심사 요청 시 심사 의뢰 후 10일 이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를 받을 수 있으나, 게재 여부는 심사 결과에 따라 진행한다. 긴급심사료는 편당 200,000원으로 하며, 학회로 납부하여야 하여야(계좌이체 시 계좌정보: 우체국: 610246-01-001759(예금주: 사단법인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심사가 진행된다.
4.3. 저자는 긴급심사를 요청할 수 있다. 긴급심사 요청 시 심사 의뢰 후 10일 이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를 받을 수 있으나, 게재 여부는 심사 결과에 따라 진행한다. 긴급심사료는 편당 200,000원이며, 학회로 납부하여야 한다(계좌이체 시 계좌정보: 우체국: 610246-01-001759(예금주: 사단법인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4.4. 완본 제출 : 최종 심사 후에는 ‘게재 가’를 받은 논문은 논문 투고 시스템에 별첨 그림을 포함한 원본 1부를 첨부하여 등록한다.
4.5. 인쇄된 교정본(PDF 파일)의 교정은 교신저자가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단, 교정 시에 간단한 오타 및 실수에 의한 표기 이외에 원고의 변경, 추가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부득이 한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6. 게재가 확정된 논문 및 총설의 일반 심사료는 없으며, 게재료는 기본 6쪽까지는 300,000원이며, 쪽 초과 시 쪽당 50,000원을 납부하여야 한다.
4.7. 학술지 인쇄본 및 별쇄본은 배부하지 않으며, 인쇄본은 요청한 경우에만 저자에게 제공하며 저자가 실비를 부담한다.